아트스페이스3 시리즈는 좋은 전시를 기획하고 대중에게 소개하는 아트스페이스3과 협력하여 하나의 전시를 통째로 책에 담아 기록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좋은 공간에 구성된 전시를 온전히 기록함과 동시에 독자가 전시를 직접 관람하는 듯한 경험을 선사하기 위해 기획된 시리즈입니다. 그 시리즈의 두 번째 책으로 박미화 작가의 열아홉 번째 개인전을 소개합니다. 흙을 빚어 구운 입체작업과 평면 회화 작업의 조화, 자수로 새긴 비문을 통해 근원적인 관념과 기억을 다룹니다. 이번 전시는 관람객으로 하여금 근원적인 공감과 더불어 각자의 이야기와 상념을 불러일으키는 힘이 있습니다. 한잔의 차와 함께 올해 박수근미술상을 수상한 박미화 작가의 전시를 즐겨보시기 바랍니다.
ArtSapce3 series is newly launched project based on collaboration with ArtSpace3, one of the finest gallery located in Seoul. Hexagon is publishing the entire exhibition including artworks as well as installation view in this book in order to present intact viewing experience for readers. As the second book of this series, Hexagon is introducing Park Mihwa’s nineteenth solo exhibition. There are divers works including clay pottery, installation as well as painting works with various materials. Her works deal with primitive concepts and lead the spectator’s mind to their own stories and interpretation. Please, be our guest and enjoy this exhibition.
책 속으로
-본문 중에서-
일체의 경향성 또는 시류와는 무관한, 삶의 밑바닥을 치밀듯 관류해 들어오는 가없이 서럽고도 안타까운 정조가 너무도 묵직하게 닿아왔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눈으로 보는 작업이 아닌 몸으로 스며드는 작업, 죽어가는 혹은 사라져 가는 것들을 보듬고 서 있는 투박한 따스함이 느껴지는 작업들이었다. 오래전부터 그 자리에 놓여 비바람을 맞고 서 있었던 것 같은 표면의 거칠거칠한 패임과 긁힘들, 덕지덕지 붙어 있다가 뜯겨져 나간 건칠 조상(彫像)의 거죽처럼 숭엄한 기운이 감도는 기류의 운행은 도대체 어디에서 기인하는 것일까? 필경 그 도저한 느낌의 연유란 그것이 흙이 부르는 노래, 흙이 우는 소리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녀의 도조(陶彫) 작업이란 것이 따지고 보면 전부가 흙과 물의 배합이다. 흙은 너른 대지를 고루 덮어 일체를 화육하는 모성의 상징이며, 모든 풀과 나무와 꽃들은 흙속에 뿌리를 내리고 물을 빨아들여 온전히 자라난다. 모든 것을 다 품에 안은 채 슬픔을 위로해 주고 아픔을 달래 주는, 우리들 ‘엄마’에 가장 가까운 질료인 그 흙, 그래서 구약성경 창세기에는 사람도 하나님께서 그것으로 지으사 그 코에 생기를 불어넣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미미하고 연약한 재료이지만 인간은 거기에서 났고 또 거기로 돌아간다. 그래서 흙은 생명이 귀의하는 마지막 안식의 자리이다. / 김동화
서평
“19회 개인전을 위해 근 몇 년간 만들어진 박미화의 작품들은 분명 작가에게나 관객에게 새로운 작품이면서도 마치 발굴된 유물처럼 오래된 시간의 켜를 둘러쓰고 있다.”
진주조개가 조금씩 커 나가는듯한 시간의 힘이 있다. 그러한 외양들은 작가가 인간사에 반복되는 보편적이고도 근원적인 문제에 천착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그 대상이 인간일 때, 이 시간의 흔적들은 상처나 상처가 아무는 시간들, 태어난 존재가 자라고 늙고 종국에는 죽어가는 시간들을 상징하게 된다. 박미화의 작품은 식물, 풍경, 인간 등 오래된 소재를 다루어서도 그렇지만 흙을 빚어 굽는 작업이나 기억이라는 주제에서 시간성이 느껴진다. 겹겹의 층으로 이루어진 대상들은 오래된 사물처럼 재차 반복해 해석해야 할 대상으로 나타난다. 반면 일상을 채우는 대상인 상품은 즉시 소비자에게 어필해야 한다. 현대는 거듭되는 해석을 요구하는 사물은 몇몇만 남겨서 박물관 같은 곳에 안치해놓고, 즉시 사용되고 버려지는 상품들로 세상을 채워나간다.
이에 비하면 박미화의 작품은 고풍스럽다. 작가는 고대인들이 점토판 위에 새겨 넣었듯이 타자들이 해석해야 할 무엇을 기록한다. 이전 전시의 키워드 중 하나인 ‘Docu-mentally’는 이번 전시에서도 적용된다. 작가 노트에 썼듯이 ‘…쌓여있던 기억들이 때가 되면 결국 튀어나오게 되는 것이다. 존재를 기억하는 것. 그 기억을 기록하는 것. 그것이 일상이다’. 한 번이 아니라 여러 번 그어진 선들과 표면들은 기억을 정확한 재현이 아니라, 미지의 과제로 남겨 놓는다. 단순 간결한 형식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뭔가 한 토막씩 모자란 구석이 있는 그것들은 완결된 자족감을 가지지 않아서, 관객은 빠져 있거나 잃어버린 것들을 상상하게 된다. 박미화의 작품에서 켜켜이 쌓인 시간성은 불현듯 단층을 드러내며 상상을 촉발시킨다. 거기에는 이야기가 있지만 순차적인 인과성을 가지지 않는다. 바닥에 눕혀 놓거나 벽에 기대어 놓은 것뿐 아니라, 강고하게 서 있는 것들 또한 뭔가 푹 빠져나간다. / 이선영 (미술평론가)
Laeves 145×115cm mixed clay, oxidation 2018
A litt leamb 55×33×14cm mixed clay, oxidation 2018
The names 456×382cm embroidery on cotton cloth 2016-2018
저자소개
박미화
1957년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과(공예전공)과 미국 필라델피아 University City Art League, 미국
템플대학교 타일러 미술대학원에서 조각과 도예를 전공했다. 1989년 미국 필라델피아 펜로즈갤러리에서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19차례 개인전을 열었으며 2019년
제4회 박수근 미술상을 수상했다.
[도서] 박미화 / 아트스페이스3
박미화 (아트스페이스3 시리즈 #2) / 아트스페이스3
책 소개
아트스페이스3 시리즈는 좋은 전시를 기획하고 대중에게 소개하는 아트스페이스3과 협력하여 하나의 전시를 통째로 책에 담아 기록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좋은 공간에 구성된 전시를 온전히 기록함과 동시에 독자가 전시를 직접 관람하는 듯한 경험을 선사하기 위해 기획된 시리즈입니다.
그 시리즈의 두 번째 책으로 박미화 작가의 열아홉 번째 개인전을 소개합니다. 흙을 빚어 구운 입체작업과 평면 회화 작업의 조화, 자수로 새긴 비문을 통해 근원적인 관념과 기억을 다룹니다. 이번 전시는 관람객으로 하여금 근원적인 공감과 더불어 각자의 이야기와 상념을 불러일으키는 힘이 있습니다. 한잔의 차와 함께 올해 박수근미술상을 수상한 박미화 작가의 전시를 즐겨보시기 바랍니다.
ArtSapce3 series is newly launched project based on collaboration with ArtSpace3, one of the finest gallery located in Seoul. Hexagon is publishing the entire exhibition including artworks as well as installation view in this book in order to present intact viewing experience for readers.
As the second book of this series, Hexagon is introducing Park Mihwa’s nineteenth solo exhibition. There are divers works including clay pottery, installation as well as painting works with various materials. Her works deal with primitive concepts and lead the spectator’s mind to their own stories and interpretation. Please, be our guest and enjoy this exhibition.
책 속으로
-본문 중에서-
일체의 경향성 또는 시류와는 무관한, 삶의 밑바닥을 치밀듯 관류해 들어오는 가없이 서럽고도 안타까운 정조가 너무도 묵직하게 닿아왔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눈으로 보는 작업이 아닌 몸으로 스며드는 작업, 죽어가는 혹은 사라져 가는 것들을 보듬고 서 있는 투박한 따스함이 느껴지는 작업들이었다. 오래전부터 그 자리에 놓여 비바람을 맞고 서 있었던 것 같은 표면의 거칠거칠한 패임과 긁힘들, 덕지덕지 붙어 있다가 뜯겨져 나간 건칠 조상(彫像)의 거죽처럼 숭엄한 기운이 감도는 기류의 운행은 도대체 어디에서 기인하는 것일까? 필경 그 도저한 느낌의 연유란 그것이 흙이 부르는 노래, 흙이 우는 소리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녀의 도조(陶彫) 작업이란 것이 따지고 보면 전부가 흙과 물의 배합이다. 흙은 너른 대지를 고루 덮어 일체를 화육하는 모성의 상징이며, 모든 풀과 나무와 꽃들은 흙속에 뿌리를 내리고 물을 빨아들여 온전히 자라난다. 모든 것을 다 품에 안은 채 슬픔을 위로해 주고 아픔을 달래 주는, 우리들 ‘엄마’에 가장 가까운 질료인 그 흙, 그래서 구약성경 창세기에는 사람도 하나님께서 그것으로 지으사 그 코에 생기를 불어넣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미미하고 연약한 재료이지만 인간은 거기에서 났고 또 거기로 돌아간다. 그래서 흙은 생명이 귀의하는 마지막 안식의 자리이다. / 김동화
서평
진주조개가 조금씩 커 나가는듯한 시간의 힘이 있다. 그러한 외양들은 작가가 인간사에 반복되는 보편적이고도 근원적인 문제에 천착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그 대상이 인간일 때, 이 시간의 흔적들은 상처나 상처가 아무는 시간들, 태어난 존재가 자라고 늙고 종국에는 죽어가는 시간들을 상징하게 된다. 박미화의 작품은 식물, 풍경, 인간 등 오래된 소재를 다루어서도 그렇지만 흙을 빚어 굽는 작업이나 기억이라는 주제에서 시간성이 느껴진다. 겹겹의 층으로 이루어진 대상들은 오래된 사물처럼 재차 반복해 해석해야 할 대상으로 나타난다. 반면 일상을 채우는 대상인 상품은 즉시 소비자에게 어필해야 한다. 현대는 거듭되는 해석을 요구하는 사물은 몇몇만 남겨서 박물관 같은 곳에 안치해놓고, 즉시 사용되고 버려지는 상품들로 세상을 채워나간다.
이에 비하면 박미화의 작품은 고풍스럽다. 작가는 고대인들이 점토판 위에 새겨 넣었듯이 타자들이 해석해야 할 무엇을 기록한다. 이전 전시의 키워드 중 하나인 ‘Docu-mentally’는 이번 전시에서도 적용된다. 작가 노트에 썼듯이 ‘…쌓여있던 기억들이 때가 되면 결국 튀어나오게 되는 것이다. 존재를 기억하는 것. 그 기억을 기록하는 것. 그것이 일상이다’. 한 번이 아니라 여러 번 그어진 선들과 표면들은 기억을 정확한 재현이 아니라, 미지의 과제로 남겨 놓는다. 단순 간결한 형식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뭔가 한 토막씩 모자란 구석이 있는 그것들은 완결된 자족감을 가지지 않아서, 관객은 빠져 있거나 잃어버린 것들을 상상하게 된다. 박미화의 작품에서 켜켜이 쌓인 시간성은 불현듯 단층을 드러내며 상상을 촉발시킨다. 거기에는 이야기가 있지만 순차적인 인과성을 가지지 않는다. 바닥에 눕혀 놓거나 벽에 기대어 놓은 것뿐 아니라, 강고하게 서 있는 것들 또한 뭔가 푹 빠져나간다. / 이선영 (미술평론가)
저자소개
박미화
1957년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응용미술과(공예전공)과 미국 필라델피아 University City Art League, 미국 템플대학교 타일러 미술대학원에서 조각과 도예를 전공했다. 1989년 미국 필라델피아 펜로즈갤러리에서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19차례 개인전을 열었으며 2019년 제4회 박수근 미술상을 수상했다.
Related Posts
[미술] 현대키술 키워드 1 / 진휘연 양은희
미술에 관심 있는 젊은 예술가, 미술을 공부하는 사람들을 위한 현대미술 소개서이다. 그리고 현대미술에 매력을 느끼는 일반인들도 접근하기 쉬운 책이다.
[도서] 베이비 마인드 / 정이비
저명한 이탈리아의 교육학자이자 의사인 마리아 몬테소리의 저서를 토대로 그 원서를 해설하고 우리의 실전 육아에 반영할 수 있도록 개념과 설명을 함께 엮었습니다.
[교육/육아] 괜찮아, 우리도 몬테소리가 처음이야 / 정이비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몬테소리 교육 매뉴얼. 다년간의 교육과 경험을 바탕으로 집약된 실용적인 가이드.
[도서] 하성흡 / 한국현대미술선 43
헥사곤 한국현대미술선 마흔세 번째, 하성흡 작가의 작업을 소개합니다. 5·18 광주 민중항쟁과 한국 근현대사의 면모를 기록한 역사화를 엮은 광주 5월과, 소쇄원 48영 등 산수화, 인물화를 함께 엮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