헥사곤 한국현대미술선 마흔 여섯 번째, 안혜경 작가의 작업을 소개합니다. 주로 리넨 천에 아크릴을 활용한 작업을 하는 작가는 수묵이나 먹을 사용하기도 하며 몽환적 추상에서부터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자연과 일상의 소재를 통해 가변적인 농담의 화사한 색채를 화폭에 펼쳐냅니다. 헥사곤은 작가의 초기 추상부터 보다 굵고 명쾌한 선으로 일상적 풍경을 그려낸 근작을 정리하여 수록하였습니다. 쉽고 직관적인 주제로 풀어내는 자연의 이야기를 함께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As the 46th book of the Hexagon Korean Contemporary Art series, We introduce An Hye-kyung, who mainly uses acrylic on linen cloths, and traditional materials such as SUMUK and meok. The artist’s work spectrum covers from dreamy abstractions, through nature and everyday materials that are common around us and unfolds the bright colors of variable light and shade on the canvas. Hexagon has compiled the artist’s recent works that depict everyday scenary along with thicker and clearer lines from the abstracts she worked in earier days. Feel the artist’s story of nature with an easy and intuitive theme.
한국현대미술선 46 / 안혜경
가족 91×116.8cm 리넨에 아크릴 2016
가족 91×116.8cm 리넨에 아크릴 2018
봄눈 130.3×162.2cm 리넨에 아크릴 2012
바닷가 밭에 호박을 심는다 112.1×193.9cm 리넨에 아크릴 2016
이마어보 193.9×130.3cm 리넨에 아크릴 2016
책 속으로
-본문 중에서-
서툴고 게으른 농부는 따뜻한 봄날 호박 모종을 심는다.
게으르지만 열심히 풀을 뽑고 물을 준다.
“절대로 비닐 멀칭, 화학비료는 주지 않을거야.”
“땅도 숨을 쉬어야지.”
하루 또 하루 지나고 호박밭은 풀이 무성하다.
다른 일이 있어 한 번 놓쳤을 뿐인데…
무성한 풀을 보며 올해도 또 풀이 이겼구나.
강아지풀, 바랭이가 사이좋게 지내는 호박밭에
장화를 신고 들어간다.
아! 호박이 숨어있네!
호박 보물을 찾아 풀밭을 누빈다.
풀이 주인인 밭에 당당한 호박을 그린다.
아침을 맞이하는 나팔꽃을 만나고
빨간 동백꽃을 만나고
봄이면 부드러운 새순 나물로 오는 내 키보다 큰 자리공과
바다를 만나는 호박.
풀밭에서 씩씩하게 자란 고마운 호박.
고마운 하늘
고마운 땅
고마운 바다
고마운 사람
고마운 호박
● 작가노트 중에서
서평
“아름다움, 그것이 무엇인지 나는 모른다.”
500년 전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ürer)는 이렇게 말했다.
그러나 우리는 뉘른베르크(Nuremberg) 대가의 겸손한 고백 뒤에 평생에 걸친 인체 비례의 연구와 아름다움의 궁극을 발견하려는 노력이 뒷받침되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안혜경은 단색조의 풍경화 연작을 그렸다. 색채와 형태, 빛과 구성의 처리가 모두 단순한 그림들이다. 자연의 일곱 가지 무지개 빛과 세상의 모든 형태는 화가의 팔레트를 거치면서 겸손해진다.
우리의 눈빛은 그림을 구획하는 정사각형의 창문을 지나면서 이성의 밝은 세례를 받는다.
화가의 붓은 수학자의 엄격함과 철학자의 사유를 함께 구사하면서 모든 색채의 영원한 근원인 빛과 어두움의 비밀스러운 요람으로 우리들을 초대한다. 이곳의 풍경에는 물과 바람, 흙과 불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빛과 어둠, 선과 악의 가치도 행복하게 어울린다. 산은 물에게 제 그림자를 강요하지 않고, 물은 산에게 흐름을 뽐내지 않는다. 안혜경의 풍경은 조화로운 떨림으로 가득하다. 물의 시간과 산의 공간이 손을 마주 잡고 춤을 춘다. 이것은 빛나는 겸손이다. 그리고 눈부신 침묵이다. 안혜경의 풍경은 오랜 성찰의 숫돌에 갈아낸 내면의 거울이기 때문이다. ● 노성두 / 미술사학자
목차
Works
9 고마운 호박
67 HERStory in Gongju
121 몽유, 쿠리오소스
155 일기
Text
10 붉은 땅 해남, 복이 넝쿨째 굴러올 것만 같은 호박밭 _이승미
88 화가 안혜경이 들려주는 공주이야기, 「HERStory in Gongju」 _이승건
100 공중부양하는 마음 _나태주
122 안혜경의 수묵 풍경 _노성두
156 90일간의 타일랜드 여행 _이승미
178 인터뷰 Interview
화가 안혜경은 덕성여자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서양화와 미술학을 전공했으며 1990년 첫 개인전 이후 지금까지 작업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2006년 충남 공주로 귀농하여 오픈 스튜디오를 운영하는 등 작업과 작품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와 교류하고 나눔을 실천하는 일을 해왔습니다. 화폭에 화사한 색채를 바탕으로 자연과 일상을 품는 쉽고 편안한 작업을 통해 대중과 소통합니다.
[도서] 안혜경 / 한국현대미술선 46
한국현대미술선 46 / 안혜경
바로 구매하기
예스24 / 교보문고 / 도서11번가 / 알라딘 / 인터파크도서 / 영풍문고 / 반디앤루니스
책 소개
헥사곤 한국현대미술선 마흔 여섯 번째, 안혜경 작가의 작업을 소개합니다. 주로 리넨 천에 아크릴을 활용한 작업을 하는 작가는 수묵이나 먹을 사용하기도 하며 몽환적 추상에서부터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자연과 일상의 소재를 통해 가변적인 농담의 화사한 색채를 화폭에 펼쳐냅니다. 헥사곤은 작가의 초기 추상부터 보다 굵고 명쾌한 선으로 일상적 풍경을 그려낸 근작을 정리하여 수록하였습니다. 쉽고 직관적인 주제로 풀어내는 자연의 이야기를 함께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As the 46th book of the Hexagon Korean Contemporary Art series, We introduce An Hye-kyung, who mainly uses acrylic on linen cloths, and traditional materials such as SUMUK and meok. The artist’s work spectrum covers from dreamy abstractions, through nature and everyday materials that are common around us and unfolds the bright colors of variable light and shade on the canvas. Hexagon has compiled the artist’s recent works that depict everyday scenary along with thicker and clearer lines from the abstracts she worked in earier days. Feel the artist’s story of nature with an easy and intuitive theme.
책 속으로
-본문 중에서-
서툴고 게으른 농부는 따뜻한 봄날 호박 모종을 심는다.
게으르지만 열심히 풀을 뽑고 물을 준다.
“절대로 비닐 멀칭, 화학비료는 주지 않을거야.”
“땅도 숨을 쉬어야지.”
하루 또 하루 지나고 호박밭은 풀이 무성하다.
다른 일이 있어 한 번 놓쳤을 뿐인데…
무성한 풀을 보며 올해도 또 풀이 이겼구나.
강아지풀, 바랭이가 사이좋게 지내는 호박밭에
장화를 신고 들어간다.
아! 호박이 숨어있네!
호박 보물을 찾아 풀밭을 누빈다.
풀이 주인인 밭에 당당한 호박을 그린다.
아침을 맞이하는 나팔꽃을 만나고
빨간 동백꽃을 만나고
봄이면 부드러운 새순 나물로 오는 내 키보다 큰 자리공과
바다를 만나는 호박.
풀밭에서 씩씩하게 자란 고마운 호박.
고마운 하늘
고마운 땅
고마운 바다
고마운 사람
고마운 호박
● 작가노트 중에서
서평
“아름다움, 그것이 무엇인지 나는 모른다.”
500년 전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ürer)는 이렇게 말했다.
그러나 우리는 뉘른베르크(Nuremberg) 대가의 겸손한 고백 뒤에 평생에 걸친 인체 비례의 연구와 아름다움의 궁극을 발견하려는 노력이 뒷받침되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안혜경은 단색조의 풍경화 연작을 그렸다. 색채와 형태, 빛과 구성의 처리가 모두 단순한 그림들이다. 자연의 일곱 가지 무지개 빛과 세상의 모든 형태는 화가의 팔레트를 거치면서 겸손해진다.
우리의 눈빛은 그림을 구획하는 정사각형의 창문을 지나면서 이성의 밝은 세례를 받는다.
화가의 붓은 수학자의 엄격함과 철학자의 사유를 함께 구사하면서 모든 색채의 영원한 근원인 빛과 어두움의 비밀스러운 요람으로 우리들을 초대한다. 이곳의 풍경에는 물과 바람, 흙과 불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빛과 어둠, 선과 악의 가치도 행복하게 어울린다. 산은 물에게 제 그림자를 강요하지 않고, 물은 산에게 흐름을 뽐내지 않는다. 안혜경의 풍경은 조화로운 떨림으로 가득하다. 물의 시간과 산의 공간이 손을 마주 잡고 춤을 춘다. 이것은 빛나는 겸손이다. 그리고 눈부신 침묵이다. 안혜경의 풍경은 오랜 성찰의 숫돌에 갈아낸 내면의 거울이기 때문이다. ● 노성두 / 미술사학자
목차
Works
9 고마운 호박
67 HERStory in Gongju
121 몽유, 쿠리오소스
155 일기
Text
10 붉은 땅 해남, 복이 넝쿨째 굴러올 것만 같은 호박밭 _이승미
88 화가 안혜경이 들려주는 공주이야기, 「HERStory in Gongju」 _이승건
100 공중부양하는 마음 _나태주
122 안혜경의 수묵 풍경 _노성두
156 90일간의 타일랜드 여행 _이승미
178 인터뷰 Interview
30 / 58 / 62 / 98 / 132 / 144 / 162 / 170 / 174 작가노트
186 프로필 Profile
저자소개
안혜경
화가 안혜경은 덕성여자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서양화와 미술학을 전공했으며 1990년 첫 개인전 이후 지금까지 작업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2006년 충남 공주로 귀농하여 오픈 스튜디오를 운영하는 등 작업과 작품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와 교류하고 나눔을 실천하는 일을 해왔습니다. 화폭에 화사한 색채를 바탕으로 자연과 일상을 품는 쉽고 편안한 작업을 통해 대중과 소통합니다.
책 미리보기
ISBN : 979-11-89688-29-5
책 구매하기
예스24 / 교보문고 / 도서11번가 / 알라딘 / 인터파크도서 / 영풍문고 / 반디앤루니스
Related Posts
[도서] 별 내리는 섬, 백령도 / 최정숙
헥사곤 파인아트컬렉션 열아홉 번째 책은 최정숙 작가의 작업을 소개한다. 작가가 유년시절을 보낸 백령도의 풍경은 그녀의 삶과 가치가 투영되어 색색을 담은 풍경으로 거듭난다.
[도서] 정상곤 / 한국현대미술선 42
헥사곤 한국현대미술선 마흔두 번째, 정상곤 작가의 작업을 소개합니다. 크게 페인팅과 판화, 디지털 작업의 두가지 챕터로 구성되었고 작가가 첫 개인전을 열었던 1990년부터 근래의 작업까지 약 130여점의 작품이 수록되었습니다.
[도서] 임동승 / 아트스페이스3 #5
헥사곤과 아트스페이스3의 출판 프로젝트 다섯 번째 책, 임동승 작가의 전시 ‘TRANS’를 소개합니다. 임동승 작가의 작업은 독특한 연출과 전개를 바탕으로 쉽게 예측할 수 없는 수수께끼를 선사합니다.
[교육/육아] 괜찮아, 우리도 몬테소리가 처음이야 / 정이비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몬테소리 교육 매뉴얼. 다년간의 교육과 경험을 바탕으로 집약된 실용적인 가이드.